Surprise Me!

[세계를 보다]대만 전현 총통 등판…‘반도체 외교전’

2023-03-26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가장 난처한 나라, 대만입니다. <br> <br>우리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강국인 대만은 친중과 친미 사이 '줄타기'를 반복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큰 선거를 앞두고 대만 정치권은 미중 대리전 양상까지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, 권갑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26년 만에 처음 미수교국인 대만을 공식 방문한 독일 교육부 장관은 반도체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협약을 맺었습니다. <br> <br>[베티나 슈타르크-바칭어 / 독일 교육연구부장관] <br>“이번 방문은 몇 달 동안 준비한 겁니다. 그런 관점에서 그리 놀라운 건 아닙니다.” <br><br> 세계 반도체 위탁생산의 58%를 점유 중인 대만 TSMC를 향해 미국 등 서방은 전략적 동맹의 끈을 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 오브라이언 전 미 국가안보보좌관은 중국의 침공으로 TSMC 공장이 넘어가느니 공장 파괴가 낫다고 견제할 만큼 대만의 기술은 절대적입니다. <br><br> 내년 1월 총통 선거를 앞둔 대만은 화약고로 떠올랐습니다. <br><br> 중미 방문을 전후해 미국 본토를 찾는 차이잉원 총통은 매카시 미 하원의장과의 만남도 추진해 중국을 자극했습니다. <br><br>[마오닝 / 중국 외교부 대변인] <br>"중국은 굉장히 우려스럽습니다. 미국 측에 확인 문서를 제출해 해명을 요청했습니다." <br> <br>[존 커비 / 미국 백악관 전략소통조정관] <br>"중국이 과민 반응할 이유가 없습니다." <br><br> 이에 앞서 야당 국민당 소속 마잉주는 전직 총통으로 처음 중국을 방문합니다. <br> <br> 상하이와 우한, 그리고 신해혁명 유적지가 있는 창사 등을 찾아 중국 학생들을 만납니다. <br><br> 마 전 총통은 8년 전 싱가포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역사적인 첫 양안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. <br> <br> 반중 노선을 고수하는 현직 총통과, 선거를 앞두고 극한 대립을 우려하는 민심을 얻으려는 전직 총통이 미국과 중국의 대리전을 펼치는 겁니다. <br> <br>[강준영 /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] <br>"(현재는)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니까 거기에 일종의 편승 전략이죠." <br> <br>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속에 반도체 매출 60%가 중국시장인 우리 기업들의 줄타기 행보도 마찬가지. <br> <br>[양갑용 / 국가전략연구원 교수] <br>"시장을 갖고 있는 중국과 기술을 갖고 있는 미국 중에 어디에 우리가 포커싱을 해야 될까, 그런 딜레마가 대만도 있고 우리도 있어요. <br> <br> 3년 만에 중국을 방문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이 같은 상황을 의식한 듯 극도로 말을 아꼈습니다. <br> <br>[이재용 / 삼성전자 회장] <br>(뵈려고 하루종일 기다렸습니다 한 말씀 부탁드릴게요.) 북경이 날씨가 너무 좋죠. <br> <br> 미-중 사이에서 공급망 단절을 우려해 TSMC는 일본에 두번째 공장 설립으로 생산지 다변화에 나섰고 삼성전자도 300조원을 투자해 용인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 권갑구 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